에어로 몽골리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어로 몽골리아는 2001년 설립되어 2003년 국내선 운항을 시작한 몽골의 항공사이다. 2007년 몽니스 그룹과 합병 후 경영, 재정 안정 및 안전 강화를 도모했다. 2024년 12월 현재 서울, 도쿄, 후허하오터, 하노이 등 국제선과 제주, 양양, 푸꾸옥, 다낭, 나트랑 등 전세 항공편을 운항하며, 에어버스 A319 기종을 보유하고 있다. 과거 포커 50, 포커 100, 엠브라에르 ERJ 145 기종을 운용하기도 했다. SKYMILES라는 상용 고객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과거 안전 점검 실패 및 사고로 운항이 중단된 사례가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골의 항공사 - MIAT 몽골 항공
MIAT 몽골 항공은 1956년 설립된 몽골의 국영 항공사로, 국제선 노선 확대와 보잉 및 에어버스 기종 도입을 거쳐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특별 운항 및 국내선 운항 재개 등의 변화를 겪고 있다. - 몽골의 항공사 - 훈누 에어
훈누 에어는 몽골린 알트 MAK LLC와 보디 그룹의 지원으로 설립되어 몬니스 항공 서비스를 인수한 몽골의 항공사로, MIAT 몽골 항공과의 혼동을 피하고자 사명을 변경했으며, 국내선과 국제선 노선을 운영하고 재정적인 어려움과 코로나19 팬데믹을 극복하고 있다. - 2002년 설립된 항공사 - 저먼윙스
2002년 유로윙스 자회사로 설립된 저먼윙스는 루프트한자 인수 후 단거리 노선을 확장했으나, 노조 갈등과 9525편 추락 사고, 코로나19 팬데믹으로 2020년 파산했다. - 2002년 설립된 항공사 - 야쿠티아 항공
야쿠티아 항공은 러시아 항공사로, 사하 아비아에서 시작하여 재건 및 합병, 폴라르 항공 인수를 거쳐 현재는 러시아 국내선과 중국 하얼빈 노선을 운항하며 보잉 737, 수호이 슈퍼젯 100 기종을 운용하고 대한민국 직항 노선 개설도 검토 중이다. - 국기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국기 - 아시아
아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크고 인구가 많은 대륙으로, 유라시아 동쪽 4/5를 차지하며, 4대 문명 중 3개의 발원지이고 다양한 종교와 문화가 발전했으며 경제 성장과 분쟁을 동시에 겪고 있다.
에어로 몽골리아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항공사 명칭 | 아에로 몽골리아 항공 |
현지 명칭 | Аэро Монголиа (아에로 몽골리아) |
영어 명칭 | Aero Mongolia |
IATA 코드 | M0 |
ICAO 코드 | MNG |
콜사인 | AERO MONGOLIA |
설립 | 2001년 |
창립일 | 2002년 |
본사 위치 | 몽골 울란바토르 |
허브 공항 | 칭기스 칸 국제공항 |
웹사이트 | 아에로 몽골리아 항공 공식 웹사이트 |
운영 | |
모기업 | 모니스 그룹 |
CEO | Munkhjargal.N |
직원 수 | 210명 |
상용 고객 우대 제도 | SkyMiles |
취항 노선 수 | 12개 |
보유 항공기 | |
항공기 수 | 3대 |
2. 역사
에어로 몽골리아는 2001년에 설립되어 2003년 5월 25일에 첫 국내선 운항을 시작했다.[9] 2024년 12월 현재 200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으며, 서울, 도쿄, 후허하오터, 하노이를 포함한 4개의 국제선 목적지로 정기 항공편을 운항하고 있다. 또한 제주, 양양(대한민국), 푸꾸옥, 다낭, 나트랑으로 전세 항공편을 운항한다.
설립 초기 이후, 항공기 현대화 계획에 따라 2018년에 포커 50과 포커 100 항공기를 퇴역시켰고, 2023년에는 엠브라에르 ERJ 145 항공기 2대를 퇴역시켰다. 2007년 6월 몽니스 그룹과 합병한 후 경영을 강화하고 재정 상태를 안정시키며 비행 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치를 취했다.
2. 1. 설립 초기
Aero Mongolia영어는 2001년 9월에 설립되었으며, 2003년 5월 25일에 첫 국내선 항공편을 운항했다.[9] 2007년 6월 몽니스 그룹과 합병한 후, 경영 강화, 재정 상태 안정, 비행 안전 향상을 위한 조치를 취했다.2. 2. 몽니스 그룹 합병 및 성장
에어로 몽골리아는 2007년 6월 몽니스 그룹과 합병한 후, 경영 강화, 재정 안정, 비행 안전 향상을 위한 조치를 취했다.[1] 이러한 노력은 에어로 몽골리아의 지속적인 성장과 새로운 시장 확장을 지원했다.[1]2. 3. 항공기 현대화
에어로 몽골리아는 항공기 현대화 계획에 따라 2018년에 포커 50과 포커 100 항공기를 퇴역시켰고, 2023년에는 엠브라에르 ERJ 145 항공기 2대를 퇴역시켰다.[1] 2024년 현재는 에어버스 A319 기종을 운용하고 있다.[1]2. 4. 기타
2023년, 몽골 등에서 촬영한 TBS 계열 일요극장 "VIVANT" 촬영에 전면 협력했다. 에어로 몽골리아는 보유하고 있던 A319 항공기를 대여하여 격납고와 기내에서 촬영을 진행했다.[9]3. 운항 노선
에어로 몽골리아는 몽골의 항공사로, 국내선과 국제선 노선을 운항하고 있다. 2019년 9월 기준으로 몽골 국내 여러 지역과 중국, 러시아, 한국, 일본 등지로 운항하였다.[1] 2024년 7월 현재는 대한민국, 일본, 중국, 베트남으로 가는 국제선과 여러 국가로 가는 전세기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2]
3. 1. 국제선
2024년 7월 현재, 에어로 몽골리아는 대한민국 서울, 일본 도쿄, 중국 후허하오터, 베트남 하노이를 오가는 국제선을 운항하고 있다. 또한, 한국의 제주, 양양 등 여러 도시로 가는 전세기 노선도 운영하고 있다.3. 1. 1. 정기 노선
2019년 9월 기준으로 에어로 몽골리아는 다음과 같은 노선을 운항하고 있다.[1] 2024년 7월 현재 에어로 몽골리아는 정기 항공 노선으로 대한민국 서울, 일본 도쿄, 중국 후허하오터, 베트남 하노이를 운항하고 있다.[2]나라 | 도시 | 공항 | 비고 |
---|---|---|---|
중국 | 후허하오터 | 후허하오터 바이타 국제공항 | |
톈진 | 톈진 빈하이 국제공항 | ||
우루무치 | 우루무치 디워푸 국제공항 | 단항 | |
몽골 | 알타이 | 알타이 공항 | |
달란자드가드 | 달란자드가드 공항 | ||
허브드 | 허브드 공항 | ||
무룽 | 무룽 공항 | ||
울기 | 울기 공항 | ||
오부트 | 오부트 공항 | ||
오유 톨고이 | 칸붐바트 공항 | ||
타반톨고이 | 타반톨고이 공항 | ||
울란바토르 | 칭기즈 칸 국제공항 | 허브 | |
올란곰 | 올란곰 공항 | ||
러시아 | 이르쿠츠크 | 이르쿠츠크 국제공항 | |
대한민국 | 청주 | 청주국제공항 | 단항 |
대한민국 | 양양 | 양양국제공항 | 2023년 12월 15일 재취항[1] |
일본 | 도쿄 | 나리타 국제공항 |
2024년 7월 기준 에어로몽골리아의 전세 항공 노선은 다음과 같다.[2]
- 베트남: 푸꾸옥, 다낭, 냐짱
- 대한민국: 제주, 양양
- 필리핀: 마닐라
- 몽골: 울란바토르, 달란자드가드, 한보그드, 울리아스타이, 호브드, 울기이
- 중화인민공화국: 후허하오터, 톈진
- 러시아: 이르쿠츠크, 노보시비르스크
- 일본: 도쿄/나리타
- 대한민국: 서울/인천
3. 1. 2. 전세 노선
한국 제주, Phú Quốc|푸꾸옥vi, Đà Nẵng|다낭vi, Nha Trang|냐짱vi, 필리핀 마닐라3. 2. 국내선
몽골mn 내 다음 지역으로 운항한다.도시 | 공항 |
---|---|
울란바토르 | 칭기즈 칸 국제공항 (허브) |
알타이 | 알타이 공항 |
달란자드가드 | 달란자드가드 공항 |
허브드 | 허브드 공항 |
무룽 | 무룽 공항 |
울기 | 울기 공항 |
오부트 | 오부트 공항 |
오유 톨고이 | 칸붐바트 공항 |
타반톨고이 | 타반톨고이 공항 |
올란곰 | 올란곰 공항 |
4. 보유 기종
2019년 9월 기준으로 에어로 몽골리아는 다음과 같은 기종을 보유하고 있다.
에어로 몽골리아는 에어버스 A319 2대를 운용하고 있으며, 과거에는 포커 50 4대, 포커 100 2대, 엠브라에르 ERJ 145LR 2대를 보유했었다.[3][4]
4. 1. 현재 보유 기종
2024년 12월 기준으로 에어로 몽골리아는 다음과 같은 기종을 보유하고 있다.[3][4]항공기 | 운용 | 주문 | 승객 | 비고 | ||
---|---|---|---|---|---|---|
C | Y | 합계 | ||||
에어버스 A319-112 | 1 | — | 143 | 143 | ||
에어버스 A319-115 | 1 | — | 141 | 141 | ||
합계 | 2 | 0 | colspan="4" | |
4. 2. 과거 보유 기종
에어로 몽골리아는 과거 다음과 같은 기종을 보유했었다.기종 | 대수 | 비고 |
---|---|---|
포커 50 | 4 | 2003년 ~ 2018년 운용 |
포커 100 | 2 | 2005년 ~ 2011년 운용 |
엠브라에르 ERJ 145LR | 2 |
5. 상용 고객 프로그램
SKYMILES는 에어로 몽골리아의 상용 고객 프로그램이다. "SKYMILES"는 에어로 몽골리아의 상용 고객에게 제공되는 보너스 카드를 의미하기도 한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승객은 비행 거리에 따라 1km당 10MNT을 적립할 수 있다. 적립액은 비행 거리에 따라 자동으로 계산되어 승객의 보너스 카드에 적립되며, 승객은 언제든지 적립된 금액을 사용할 수 있다.
6. 사건 및 사고
2007년 10월 31일, 몽골 항공 당국은 에어로 몽골리아의 안전 점검 실패를 이유로 운항을 중단시켰다.[5]
2009년 1월부터 5월까지 몽골 민간 항공국이 비행 안전 문제를 제기하여 에어로 몽골리아의 운항이 중단되었다.[6]
2012년 3월 30일, 에어로 몽골리아 포커 50 항공기(JU-8257)가 오유톨고이 공항에서 이륙하던 중 활주로를 이탈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항공기 우측 엔진 프로펠러가 활주로 측면 조명과 충돌하여 파손되었으며, 항공기는 심각한 손상을 입어 폐기되었다. 인명 피해는 없었다.
참조
[1]
웹사이트
Ulanbator
https://www.aeromong[...]
2011-09-21
[2]
뉴스
Directory: World Airlines
Flight International
2007-03-27
[3]
간행물
Global Airline Guide 2019 (Part One)
[4]
웹사이트
Aero Mongolia Fleet Details and History
https://www.planespo[...]
2021-11-01
[5]
웹사이트
Aero Mongolia flights stopped
http://ubpost.mongol[...]
Ulan Bator Post
2007-11-01
[6]
웹사이트
http://ubpost.mongol[...]
[7]
웹사이트
About us, Aero Mongolia LLC
https://www.aeromong[...]
2023-05-07
[8]
웹사이트
Ulanbator
https://www.aeromong[...]
2011-09-21
[9]
뉴스
Directory: World Airlines
Flight International
2007-03-27
[10]
웹사이트
航空:外国航空会社の日本への新規乗入許可 ~外国人国際航空運送事業の経営許可~ - 国土交通省
https://www.mlit.go.[...]
2022-0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